Toyo의 모든 글

『REIKO』 カルロス・トシキ&オメガトライ 歌詞 (한글 가사.번역.해석) / 『레이코』 카를로스 도시키 & 오메가트라이브

『레이코』 카를로스 도시키 & 오메가트라이

 

REIKO 柳腰のFUNKY GIRL
레이코 가녀린 허리의 펑키걸
REIKO かじりかけのSWEET APPLE
레이코 한입베어문 스윗애플 (달콤한 사과)
ムダのないスタイル
빠질데 없는 스타일
それとなく乱れた胸元
슬며시 흐트러진 가슴
完璧なレィディ
완벽한 레이디
穏やかなままじゃいられない
침착할 필요없어.
REIKO 金のヒールSEXY GIRL
레이코 금색하이힐의 섹시걸
REIKO 気分次第CHAMELEON
레이코 기분에 따라 카멜레온
君が逃げても
그대가 도망쳐도
情熱は追いかけてゆくよ
열정은 따라갈거야
束の間の恋
잠깐의 사랑
イメージでもう抱きしめてる
이미지로 벌써 안고있어
REIKO MY LOVE
레이코 마이러브
ココロを決めて
마음을 결정해
皆恋人には あきあきしてる
모두 애인에 신물이 나있어

男は狩りに出るよ
남자는 사냥을 가네
女の森へ
여자의 숲으로
女は魚になる
여자는 물고기가 되
男の海で
남자의 바다에

REIKO 柳腰のFUNKY GIRL
레이코 가녀린 허리의 펑기걸
REIKOのキスと
레이코의 키스는
他のキス取り替えられない
다른이의 키스와 같지 않아.
REIKO 手に入れたいLOVER’S CARD
레이코 손에 넣은 러버스 카드
誰も知らない
아무도 모르는
フルーツな声を聞きたくて
후르츠한 목소리가 듣고싶어서

束の間の恋
순간적사랑
イメージでもう抱きしめてる
이미지로 벌써 안고있어

だめだめ 君のすべて だめだめ
안돼안돼 당신의모든것 안돼 안돼
だめだめ 君のすべて だめだめ
안돼안돼 당신의모든것 안돼 안돼

男は 夢を探す
남자는 꿈을 찾아
女の海で
여자의 바다에
女は 愛を探す
여자는 사랑을 찾아
男の森で
남자의 숲에
男は狩りに出るよ
남자는 사냥을 하러
女の森へ
여자의 숲에
女は魚になる
여자는 물고기가 되
男の海で
남자의 바다에

oops you’ve made a malformed request. atlassian (크롬에서 atlassian 로그인 안될때)

Oops, you've made a malformed request
Oops, you’ve made a malformed request

oops you’ve made a malformed request. atlassian

bitbucket 접속하다가atlassian 계정이 도저히 안되고 계속 저 문구만 나온다.

(다른브라우져에서는 잘 되는데..또 구글 로그인을 해제하고 빈깡통 크롬에서도 잘된다..)

검색해보면 캐쉬를 지우고 하라는데 그래도 되질 않는다.

좀더 검색해보니. 크롬 비밀번호를 지우라는 글을 보았다.(이방법도 아니다)

원인은!

크롬 익스텐션(확장프로그램) 중에 방해하는 것이 있는것이다.

이것저것 빼보면서 테스트했는데

난 얼마전 깔았던 토렌트 익스텐션(Safe Torrent Scanner)이 문제였다.

Safe Torrent Scanner

ㅜ.ㅠ

 

스위치를 꺼서 사용안함으로 하거나 제거해주면 Atlassian 계정 접속이 된다.

 

크롬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크롬 실행 안될때

윈도우 7사용중인데
언젠가부터 크롬 사용이 되지 않고
작동이 중지되었다는 창만 뜬다.

원인은 Fasoo .com이라는 프로그램때문이다
DRM프로그램이라는데 머땜에 깔렸는지는 모르나
삭제하니 크롬이 된다..
이것도 모르고 크롬을 삭제설치..app data 폴더삭제등 별걸 다 해봣느데
되질 않았다.

아래 fasoo라는 곳에서 올린듯한 지들의 삭제방법이라나..
머 어떤경우는 키도 받아야한다고 자기네 연락하란다.
난 그런경우는 아닌듯 제어판에서 삭제하니 잘된다.
나쁜프로그램이다.

http://blog.naver.com/fs0608/80204029935

鉄腕アトム

鉄腕アトム
무쇠팔 아톰

作詞:谷川俊太郎
작사 : 타니카와슌타로
作曲:高井達雄
작곡 : 타카이타츠오

空をこえて ラララ ( 하늘을 넘어 라라라)
星のかなた ( 별의 저편에)
ゆくぞ アトム ( 가자 아톰)
ジェットのかぎり ( 제트의 힘다해 )
心やさしい ラララ( 마음착하게 라라라)
科学の子 (과학의아이)
十万馬力だ (십만마력이다)
鉄腕アトム(무쇠팔 아톰)

耳をすませ ラララ (귀를 귀울여 라라라)
目をみはれ (눈을 크게 떠)
そうだ アトム(그거야 아톰)
ゆだんするな(방심하지마)
心ただしい ラララ(마음바르게 라라라)
科学の子(과학의아이)
七つの威力さ(일곱위력)
鉄腕アトム(무쇠팔 아톰)

町角に ラララ (길거리에서 라라라)
海のそこに (바다밑에서)
今日も アトム(오늘도 아톰)
人間まもって(인간를 지켜라)
心はずむ ラララ(마음설래는 라라라)
科学の子(과학의아이)
みんなの友だち(모두의 친구)
鉄腕アトム(무쇠팔 아톰)

border 의 color를 text의 color와 같게 설정하기

If an element’s border color is not specified with a border property, user agents must use the value of the element’s ‘color’ property as the computed value for the border color..

border 속성에  색상정보를 넣지 않으면   텍스트 color 속성의 정보를 이용한다.

  1. 축약식일때는  색상 정보만 뺀다.
    .myDiv {
         color: green;
         border: 1px solid; /* 색상정보가 빠져있음
         border:1px solid green; 과 같다. */
     }
  2. 축약식이 아닐때는  border-style과 border-width만 설정하고 border-color는 빼면된다.
    .myDiv {
        color: green; 
        bottom-style: dotted; 
        border-bottom-width: 1px;
        /* border-color: green; 이설정은 뺀다 */
    }

http://www.w3.org/TR/CSS21/box.html#border-color-properties

this, call(), apply()

객체에 메소드를 부여하는 방법중 하나는 다음 코드처럼 함수 값을 객체에 첨가하는것이다

var rabbit = {}; // rabbit객체 생성

//speak메소드 부여
rabbit.speak = function(line) {
 console.log("토끼가말합니다: '", line, "'"); 
}

rabbit.speak("저는 살아 있어요."); 
// 토끼가말합니다 : ' 저는 살아 있어요. '

 

this

그런데 토끼 여러마리여서 서로 다른 말을 해야할때 객체안에 메소드인(rabbit.speak();)  speak() 안에 this는 해당 객체를 가르킨다.

function speak(line) { 
 console.log(this.adjective, "토끼가 말합니다:'",line,"'"); 
}

var whiteRabbit = {adjective: "흰색", speak: speak};
var fatRabbit = {adjective: "살찐", speak: speak};

whiteRabbit.speak("하얀토끼가 좋으세요?");
// 흰색 토끼가 말합니다:' 하얀토끼가 좋으세요? '
fatRabbit.speak("당근먹고싶다");
//살찐 토끼가 말합니다:' 당근먹고싶다 '

call(), apply()

이번엔 반대로 callapply을 이용해 함수에서 객체를 불러보자.

speak.call(fatRabbit,"꺼억~");
//살찐 토끼가 말합니다:' 꺼억~ '

speak.apply(fatRabbit,["냠냠"]); // 배열타입으로 인자를 넘김
//살찐 토끼가 말합니다:' 냠냠 '

주의할 점은 apply배열 ([]) 타입으로 인자를 넘겨야한다는 것이다. 기능은 같다.

function run(from, to) {
 console.log(this.adjective + "토끼가"
             , from + "에서" , to + "로 달려갑니다.");
}

var ary =["찬장","냉장고","집","학교"];

run.apply(fatRabbit, ary);
//살찐 토끼가 찬장에서 냉장고로 달려갑니다.

run.call(whiteRabbit, ary[2],ary[3]);
//흰색 토끼가 집에서 학교로 달려갑니다.

재귀함수, arguments.callee

함수안에서 자신을 다시 부를 수 있다.
흔히 재귀함수라고 하는것인데.

factorial(팩토리얼) 알고리즘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팩토리얼 5’의 결과값은 120이다.

5 x 4 x 3 x 2 x 1 = 120

수식은 자신’5’부터 ‘1’까지 1씩 줄여가며 곱하는 것이다

이제 이것을 함수 이름으로 선언하면

function factorial (x) {
 if (x <= 1) 
 return 1;

 return x * factorial(x - 1);
}

함수 리터럴로 선언하면

var factorial = function(x) {
 if (x <= 1) 
 return 1;

 return x * factorial(x - 1);
}

그런데 만약 함수리터럴에서 다른이름으로 할당한다면 어떻게 될까 ?

factorial(5); // 120  기존함수
var fact = factorial; // 새 변수에 기존함수 할당
factorial = null; // 기존 함수 제거

fact(5); // error!!

fact 함수안에서 자신이 아닌 factorial을 부르고 있기때문에 자신을 찾을 수가 없다.

함수의 이름을 사용하지 말고 arguments.callee 를 사용해 자신을 불러보자.

var factorial = function(x) {
 if (x <= 1) 
 return 1;

 return x * arguments.callee(x - 1); // 자기자신을 부름
}

이렇게 되면 같은 과정을 거쳐 할당을 해도 작동을 한다.

factorial(5); // 120  기존함수
var fact = factorial; // 새 변수에 기존함수 할당
factorial = null; // 기존 함수 제거

fact(5); // 120 정상작동